주식투자는 심리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증권사에서도 투자자들의 심리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투자 전략에 반영한다고 하네요.
여러 이론 중 오늘은 처분 효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처분 효과란 수익 난 주식은 빨리 팔고, 손실 난 주식은 계속 들고 가는 경향을 말합니다.
즉, 이익은 서둘러 실현하고 손실은 미루는 비합리적 패턴을 말합니다.
주식투자자들 대부분 수익 쬐금 나면 금새 팔고 손실 나면 소위말하는 존버의 경험 다들 있으실꺼에요.
꼭 팔고나면 더 많은 수익이 나고 존버를 하고 있음 계속 마이너스... 정말 울고 싶죠.
처분 효과는 다음의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손실회피(Prospect Theory): 같은 규모의 손실이 이익보다 더 크게 느껴져서, 손실 확정(손절) 자체를 피하려 해요.
기준점 편향(Anchoring): ‘내 매수가’가 머릿속 기준점이 되어 “본전만 오면 팔자”가 됩니다.
후회 회피 & 자존감 유지: 손절은 ‘내 판단이 틀렸음’을 인정하는 일이라 피하고, 이익 실현은 성취감(‘실현 효용’)을 줍니다.
정신계정(Mental Accounting): 종목별로 심리적 장부를 나눠 보고, 손실 계정은 덮어두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문제는 성장성이 있는 주식을 일찍 팔아 추가 수익을 놓치게 되고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선물 투자의 경우 존버로 인해 로스컷되어 남은 금액을 전부 날리게 되면다면 엄청난 손실을 입게 됩니다.
처분 효과는 규칙을 정하지 않고 감정적으로 손실을 미루는 형태이기 때문에 반드시 피해야 하는데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무엇보다 사전 매매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느 타이밍에서 손절을 할 것인지 반드시 규칙을 정해놓고 매매를 해야 하고
왜 이 타이밍에 매매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정해놓고 거래를 해야 합니다.
본인의 심리를 잘 분석해서 불안감을 최소화 하면서 꼭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주식과 심리,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은 챗GPT, 반도체 열풍 (0) | 2023.02.16 |
---|---|
사기와 심리: 나도 당할 수 있다. (0) | 2023.02.14 |
챗GPT 열풍 주식시장에도 훈풍 (0) | 2023.02.07 |
주식과 심리... 내가 팔면 오른다 (0) | 2023.02.02 |
댓글